2012년 1월 29일 일요일

일제시대 산조가야금 산조음악 탄생, 전후시기 조선에 있었던 악기들

일제시대 산조가야금 산조음악 탄생,
전후시기 조선에 있었던 악기들



석천 전일상(石泉 田日祥 1700~1753) 풍류가야금이 있는 그림



김홍도(1745~ ?) 무동, 북 장구, 피리2, 대금, 해금이 있는 그림


김홍도(1745~ ?)대금과 거문고가 있는 그림




신윤복(1758~? ) 풍류가야금이 있는 그림




신윤복(1758~? ) 거문고가 있는 그림




신윤복(1758~? ) 생황이 있는 그림




신윤복(1758~? )대금, 해금 거문고가 있는 그림




이형록(1808~ ? 조선시대 ) 거문고가 있는 그림




조선시대 거문고가 있는 그림



조선시대 후기 어린 기생들의 수업을 받는 모습 왼쪽부터 장구, 거문고 양금이 있는 사진




조선시대 후기 기생들의 수업을 받는 모습 왼쪽부터 양금, 거문고, 장구, 거문고가 있는 사진




조선시대 후기 기생들의 수업을 받는 모습 왼쪽부터 장구, 양금, 거문고가 있는 사진




조선시대 후기 악사들 왼쪽부터 피리, 해금, 거문고, 양금이 있는 사진



일제시대 초기에 촬영된 5명의 어린 기생들과 두대의 거문고



일제시대 초기에 촬영된 장구, 징, 부채 춤을 추는 여인과 거문고 타는 여인




흥선대원군(이하응 1820~1898) 풍류가야금(법금, 정악)




김창조 (1856~1919) 풍류가야금(법금, 정악)





일제시대 초기 1910년대



산조가야금 산조음악 탄생



일제시대 강제병합 직후 일제수뇌부 기념촬영(1916)




1915년경 촬영. 1910년 한일 합방후 산조가야금이 등장한 초기 사진으로 추정,



일제시대 일제가 만든 산조가야금을 기방에 전달하며 기념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추정,
왼쪽부터 첫번째 단발을 한 조선인, 기방의 책임자 이거나 이시기 단발을 한 것으로 보아 친일 하수인으로 추정,

두번째 책상다리가 어색한 일본인 관리나 악기제작을 담당한 교도관(간수) 혹은 제작에 관계한 자로 추정, 나머지 3명의 기생과 시범연주를 하는 2명의 기생 산조가야금 양금 시범연주

* 이 사진에서 보여지는 산조가야금 연주자의 자세를 살펴볼때 아래에 소개되는 사진과 비교하지 않을수 없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왼손의 모습이 거문고 연주 모습과 비슷하며, 표정 또한 시선이 왼쪽손으로 간것으로 보아 생소한 악기에 대한 호기심을 보이는 모습으로 보여진다.


1910년대 초 까지만 하여도 조선반도에 일반적으로 사용된 악기는 위에 열거한 사진에서 보는 바와같이 거문고, 양금, 해금, 대금, 피리, 징, 장구, 풍류가야금, 생황 등의 악기들이 였으나 1910년 일제 강점기가 시작된 이후 부터 엽서를 비롯한 각종 홍보 매체에 일제가 만든 산조가야금이 등장하며 일제문화의 대표 주류문화로 등장 하였다.


일제시대 일제문화의 상징 산조가야금 연주 자세가 숙련된 기생 1



일제시대 일제문화 상징 산조가야금 연주 자세가 숙련된 기생 2



일제시대 일제문화 상징 산조가야금 연주 자세가 숙련된 기생 3



일제시대 일제문화 상징 산조가야금이 등장한 악단

일제가 제작한 산조가야금은 엽서를 비롯한 각종 홍보 매체에 등장하지만 이전 시기에 흔하게 보여 졌던 거문고가 보이지 않는것은 일제는 거문고가 조선인들의 사상을 반영하는 악기로 규정 된 듯하고 필자(천익창)의 이전에 발표한 글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김광주가 거문고를 제작 하였다고 하여 사상범으로 몰았다는 것은 일제는 조선악기의 사상적 뿌리를 거문고에 둔 듯 하다.

일제는 조선의 사상을 말살하고 일제가 만든 산조가야금을 보급한 것은 일제 식민지를 고착화 하기위한 방법으로 활용된 듯 하다.



일제시대 일제문화 상징 산조가야금 변화 과정 왼쪽부터 일제시대 초기제작된 산조가야금, 두번째 문제점이 개선된 산조가야금, 세번째 일제후기 절단된 산조가야금(절금), 2012년 현재 보편적 산조가야금.

일제는 일제강점기 그들이 만든 산조가야금을 한반도에 뿌리 내리게 하고 1945년 일제가 패망 한반도에서 철수한 후에도 한국인 스스로 그것을 한국전통문화로 둔갑하게 하여 중요무형문화재, 대학교수, 감독등 한국문화의 기득권 세력으로 우뚝서게 한것은 침략자의 야욕이 성공할수 있는 사례로 볼수 있기에 그들의 침략은 일정부분 성공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소장, 일제시대 민간에서 제작된 산조가야금과 북한의 21현 개량가야금



(좌)일제시대 간혹 민간에서 일제의 산조가야금을 모방한 가야금이 나오기도 하였다. 특징이라면 세련됨이 부족 하였고, 일제를 상징하는 문양이나 나전칠기 자개장식의 화려함이 부족 하였으며, 부들 메듭 공(孔)이 24공(孔)이 아닌 이전 현악기 제작 모양과 같은 12공(孔)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지며, 규격이 통일되지 못하여 기생들에게 인기를 얻지 못하고 주류악기에 밀리어 지속적 발전을 하지 못하였다.

(우)북한의 21현 개량가야금 1990년 10.14~24 범민족통일음악회 시기 북한으로 부터 기증받은 여러 악기중 하나


일제시대 일제문화의 상징

산조가야금 관련자료 바로보기;


일제시대 탄생한 산조 가야금 산조음악과 한국의 악기장
http://blog.naver.com/hyc53/50132087911

일제강점기 일본인에 의해 탄생한 산조 가야금 산조음악 감상법
http://blog.naver.com/hyc53/50131035207


일제시대 일제문화의 상징 산조가야금 변천사
http://blog.naver.com/hyc53/50130126673

일제시대 조선인 탄압의 현장과 일제문화의 상징 산조가야금
http://blog.paran.com/hyc53/46215537

산조가야금, 천익창의 일제시기 가야금(문화)이야기 -연화-
http://blog.daum.net/hyc53/14032019



한반도 현악기 역사 시대별자료 바로보기


조선시대 김창조 풍류가야금(정악, 법금)과 신라시대 신라금 바로보기;
http://blog.daum.net/hyc53/14032020


한반도 철기시대 현악기 바로보기;
http://cafe.naver.com/hyc53/50


한반도 신석기 시대 현악기 바로보기;
http://cafe.naver.com/hyc53/43


한반도 신석기 시대 비봉리 현악기 바로보기;
http://kr.blog.yahoo.com/ehyc53/1127


천익창이 본 이왕직 아악부 마지막 악기장 강상기 전, 후 한국의 악기장
http://blog.naver.com/hyc53/50109827423



■ 천익창 경력및 활동
http://iboard2.superboard.com/board.cgi?db=28_dwhyc53noti251&idx=8&page=8


유튜브에 개설된 천익창의 동영상 사이트
http://www.youtube.com/hyc53#p/u
http://www.youtube.com/hyc53?gl=KR&hl=ko#g/u

천익창( Ikchang Cheon) 010-8790-7776, E-mail: hyc53@dreamwiz.com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