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8월 28일 토요일

약1백만년전 한반도 사슴뼈피리 천익창 발견 복원재현


약1백만년전 한반도 사슴뼈피리 천익창 발견 복원재현



안녕하세요, 천익창 입니다

오늘은 약50~100만년전 한반도에서 생겨난 사슴뼈 피리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이미 나는 2006년 북한 서포항출토 뼈피리 연구발표를 시작으로 세계각국의 뼈피리를 인터넷에 여러차례 발표한 일이 있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뼈피리는 우연히 발견된 것이 아니고 지난 6월 독일에서 발굴된 3만 5천년전 독수리 뼈피리복원 유튜브에 발표후 한반도에도 수만년전, 수십만년전 인간이 살았다면 필시 인간의 흔적이 남아있는 무엇이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확신이 가슴을 뛰게해 무작정 한국의 동굴을 탐색해 보기로 작정을 하고 충분하게 충전된 밧데리와 디지털 카메라를 준비해 태백의 용연동굴, 정선의 화암동굴 입구에서 출구까지 바닥에서 키높이 까지 카메라로 최대한 많이 찍어 왔습니다.



물론 틈틈히 PC방에 들려 크게 확대하여 탐색하는 일도 게을리 하지 않았습니다.

내가 동굴을 탐색하는 이유는 동굴이 개발될때 발굴되는 유물이 있을 것이며 또한 그 유물은 어디엔가 잘 보존되어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방문한 태백의 용연동굴이나 정선의 화암동굴에서는 발굴된 유물을 볼수 없었으며 촬영한 자료에서도 관심을 둘만한 자료가 없었고 화암동굴 입구에 정선향토박물관에 들려 동굴유물에 대해 물었으나 민속자료외 동굴유물은 없다하여 정선군청에 들려 동굴담당자를 만나 유물에 관련한 문의를 하였으나 개발되어 공개된 동굴에서 나온 유물이 없다 하였습니다.



하여 비공개 동굴답사의 가능성을 문의 하였으나 문화재청의 승낙을 받아야 한다는 나로선 감당키 어려운 제안을 하여 적잖이 실망을 하고 제천까지 돌아 오든중 왠지 포기하면 안될것 같은 느낌이 들어 다시 방향을 틀어 고수동굴을 방문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내가 고수동굴을 방문한 시간은 개방시간 약 1시간전에 도착했기 때문에 한참을 기다린후 오픈 하자마자 입장하게 되었습니다.



마음속으로 여기에선 뭔가 보여지기를 소망하며 입구를 들어서 얼마가지 않아 "동물뼈화석"이라는 팻말과 손가락이 가르키는 곳에 투명한 관안에 사슴뼈 인듯한 온전한뼈 4개와 깨어져 절단된 속뼈가 조금 보이는 화석이 있었습니다.



흥분됨을 감출수 없었습니다.

충분히 동물뼈화석을 촬영하고 동굴 탐색을 끝내고 뼈화석에 대해 궁금해 관계자에게 문의 하니 마치 동굴 발굴당시 탐험대장 엄경섭님을 만나게 되었고 발굴당시의 소중한 기억을 놓치지 않기 위해 인터뷰를 요청해 동영상을 찍었습니다.



또한 동굴에서 발굴된 구석기 유물은 수양개선사유물전시관에 많이 있다는 정보도 함께받아 가까운 수양개선사유물전시관을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전시관에 들어서니 선사유물전시관 답게 동물뼈 유물이 많았으며 특히 사슴뼈가 많았고 하나하나 놓치지 않게 촬영하는 것도 잊지 않았습니다.



특히 머리끝이 곤두서며 온몸에 전율이 감도는 유물이 있었으니 바로 "단양 도담 금굴유적" 발굴의 고유번호 "금 45-1, 청685(10-1)"이라는 사슴뼈 였으며 이 뼈는 직감적으로 약 1백만년전 인간이 소리낸 뼈피리였다는 것을 느낄수 이었습니다.



나는 태어나 60년 가까이 세상을 살면서 나의 생각과 타인의 생각이 같지 않을수 있다는 것을 잘 압니다. 또한 진실을 이해시키기 위해 설명이 필요함을 또한 잘 압니다.



또한 타인을 이해 시키기 위해 하는 일이 얼마나 피곤한 일인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 모를 것입니다, 특히 그것이 소득없고 미친듯 다니다가 교통사고로 몇주씩 입원을 하고 퇴원 후에도 후유증으로 수시로 치료를 받아가면서 하는 일이라면 더욱 사람들은 미친짓 이라고 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해와 설득없이 그 뼈는 백만년전 피리라고 한다면 대부분 이해를 못할 것입니다, 욕심 같다면 사진 자료도 충분히 실고 싶지만 몸이 욕심을 따라오지 못함을 이해 하시기 바라며, 사슴뼈피리 복원 동영상자료 7종을 유튜브 동영상 사이트에 올렸으니 궁금하신 분은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유튜브에 올려진 한반도 구석기시대(50~100만년전) 사슴뼈피리 천익창발견 복원 동영상 7종



[천익창 사슴 뼈피리 1/7] 발견경로

http://www.youtube.com/watch?v=RgnohZQnvnQ



[천익창 사슴 뼈피리 2/7] 설명 1

http://www.youtube.com/watch?v=QXwAgENil14



[천익창 사슴 뼈피리 3/7] 설명 2

http://www.youtube.com/watch?v=zL-zaWLaDTo



[천익창 사슴 뼈피리 4/7] 사슴 뼈피리 제작제현

http://www.youtube.com/watch?v=Or94hMGWUco



[천익창 사슴 뼈피리 5/7] 발굴현장 금굴유적지 현장방문 1

http://www.youtube.com/watch?v=gpZO8nDhlho



[천익창 사슴뼈피리 6/7] 발굴현장 금굴유적지 현장방문 2

http://www.youtube.com/watch?v=5sOE74k4DGY



[천익창 사슴뼈피리 7/7] 한국 동굴환경학회 탐험대장 엄경섭 인터뷰

http://www.youtube.com/watch?v=swLZXkK3jcM






* 자료조사에 협조해 주신 " 한국 동굴환경학회 탐험대장 엄경섭님, 단양군청 문화체육과 김우성님께 감사드립니다.





유튜브에 개설된 천익창의 동영상 사이트

http://www.youtube.com/hyc53#p/u

http://www.youtube.com/hyc53?gl=KR&hl=ko#g/u



천익창 경력및 활동

http://iboard2.superboard.com/board.cgi?db=28_dwhyc53noti251&idx=8&page=8



천익창( Ikchang Cheon) 010-8790-7776,
E-mail: hyc53@dreamwiz.com

2008년 1월 17일 목요일

천새빛의 48현 개량 가야금 연주회

천새빛의 48현 개량 가야금 연주회

일 시: 2008. 1. 26(토) 오후 3시
장 소: 국립민속박물관 대강당
주 최: 국립민속박물관
문 의: 천익창 010-8790-7776. E-mail: hyc53@dreamwiz.com


■ 공연순서

1. 천익창복원 한반도 신석기 현악기 즉흥연주.

2. 천익창복원 한반도 철기시대 현악기 즉흥연주.

3. 천익창복원 신라금 즉흥연주.

4. 천익창 창금(개량가야금)연주.

잘못된 만남
텔미
마이클잭슨의 Dangerous


5. 천새빛 48현 개량 가야금 연주.

외방리 겨울(천새빛작곡, 초연)
캐논 변주곡.
캐리비안의 해적 OST. He's a pirate.



■ 공연내용

천새빛은 48현 가야금 연주자이다. 일곱 살인 1994년도부터 아버지 천익창으로부터 가야금을 배웠으며, 1999년도 한국방송공사(KBS) '국악한마당'을 통해 데뷔 한 후 현재까지 지속적인 연주활동을 펼치고 있다. 2007년에는 인터넷을 통해 본인의 연주가 알려지면서 대중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천새빛의 스승이자 부친인 천익창 선생은 지난 30여년간 개량국악기를 제작해오고 있는 가야금 연주자이다.

특히 이번 연주에서는 천새빛의 창작곡 "외방리 겨울"이 초연되는데 이작품은 한적하고 조용한 외방리 별장에서 생활을 표현한 천새빛의 14년 음악수업중 처녀작으로 천새빛은 이것을 계기로 더 많은 창작활동의 시발이 될것이다.



■ 출연자


천새빛: 세계유일 열손가락주법, 48현 개량 가야금 연주

* 천새빛 연주활동
http://iboard2.superboard.dreamwiz.com/board.cgi?db=28_dwhyc53noti251&idx=35&page=7



특별출연

천익창: 악기개량, 복원, 3선보이론 창안.






48-stringed Gayageum performance by CHUN Saebit


■ Date: 3pm, sat. 26th January. 2008

■ Address: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Samcheongdonggil 35, Jongno-gu, Seoul(110-820), Korea


■ Program

1. Improvised performance of various stringed instruments

2. Changgeum performance

3. 48-stringed Gayageum performance



■ Performance description

CHUN Saebit is a 48-stringed Gayageum player. In 1994 when his age was seven, he began to learn Gayageum. Since his media debut at a TV program of the Korean Broadcasting System(KBS) in 1999, he has been presenting his Gayageum performances at various sages. In 2007 he drew the public attention through the Interne showing his performance footage in it. His father and mentor, CHUN Ikchang being a Gayageum player too, has created many modern stringed instruments for more than thirty years.


Korean boy - Canon (48 Line Gayageum version)
http://www.youtube.com/watch?v=7oQjgWUXUHo&eurl=http://gesomoon.gameshot.net/zboard/zboard.php?id=web_entertain&page=2&sn1=&divpage=1&sn=off&ss=on&s

2007년 4월 20일 금요일

Tradition Revives in Modernized Kayagum

Tradition Revives in Modernized KayagumOld Meets New to Create Contemporary Harmony

(The Korea Times 04-11-2007 21:12)
By Chung Ah-youngStaff Reporter

Chun Ik-chang, a modern kayagum maker and player, performs on an electric kayagum, which is designed to play all kinds of music including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classic and pop music. /Korea Times photo by Shim Hyun-chul
No one would argue with the need to preserve and pass along tradition for posterity. But when it comes to how, a debate spurs.

Traditionalists often clash with revisionists regarding to an oddly ambiguous meaning of ``tradition’’ in the current context.

Chun Ik-chang, 54, has solitarily struggled to revive th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to reach out to a wider audience.

Chun is a modern ``kayagum’’ maker and player. Since 1973, he has been producing modern versions of the kayagum.

He changed the 12-string instrument to 23-string and 25-string kayagum, which are a more advanced form of North Korea’s 21-stringed kayagum.

Chun even invented an electric kayagum in 1973, which allows the playing of any kind of music _ Western or Eastern _ with the magic of a single bow.

The electric kayagum is designed for Chinese, Korean and Western renditions.

He has also been making restored instruments of different prehistoric periods from bone-pipes to Neolithic, Iron-age and ancient Silla stringed instruments.

Chun said that his instrument reinventions, which have continued for over 30 years, drew little attention from the traditional music mainstream in which traditionalists have dominated.

``I started changing the kayagum when I played the instrument along with Western music troupes in the 1970s. But it was difficult for me to perform because its tuning was very unstable and shaky,’’ Chun said in an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He also invented a new technique using 10 fingers to play the modern kayagum. To play the traditional kayagum, a player uses three _ thumb, index and middle _ fingers.

``Many people said that I am destroying traditional music. But I don’t think so. What we think traditional today is not our real tradition. Tradition evolves naturally toward better conditions over time,’’ he said.

Kayagum, or Korean zither, which is similar to Chinese ``cheng’’ and Japanese ``koto’’, has long been thought of as a Korean women’s instrument, especially for ``kisaeng,’’ female entertainers.

But he argued that the belief only started only 100 years ago driven by the culture of kisaeng. He said that the instrument has a longer history, dating back to more than 6,000 years ago.

``Before the Choson Kingdom, the kayagum was played by men, instead of women as shown in clay dolls in museums nationwide,’’ he said.

He researched throughout the museums to restore more accurate traditional forms of the stringed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existing historical records, ``Samguksagi’’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hows that the kayagum was made by King Kasil during the Kaya Kingdom around the 6th century and was developed by Wu Ruk in the time of King Chinhung during the Silla Kingdom.

However, Chun said that it was created much earlier than the time of the Silla era, as the result of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The historical official records say that kayagum design was influenced by Chinese instruments. But even before the period, we Koreans had already our own native traditional form of stringed instruments without Chinese influence,’’ he said.


``I just want to show that our nation has had our own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 evolution of our traditional stringed instruments,’’ he said.

He explained that there are no string instruments whose patterns have not changed over time.

In China or Japan, their traditional instruments have been modernized as tradition develops in accordance with times. But Korea still retains the old concept of tradition.

Chun has had to face much trouble from mainstream traditionalists who call him a heretic.
``Over more than three decades, I was ignored and even threatened from the established traditionalists. I worry my son would get into trouble in the same way I suffered,’’ he said.

Chun has taught and groomed his son, Sae-bit, who began playing the kayagum at the age of seven, as the only heir to his knowledge and skills.

Sae-bit plays two kayagums _ 23-stringed and 25-stringed _ at a time, using ten fingers and requiring more than 400 different techniques.

He shows flamboyant arpeggios with the modern kayagums, which are designed to play low, middle and high tones together.

His modernized instruments include the ``changgum,’’ which has solved all the problems kayagum has for modern performances.

The changgum has the same appearance as a kayagum and comes in three different kinds with different sound and tone. It can be played either with a bow, like a violin, or with fingers while the kayagum can only be plucked.

He also invented a new scale system called ``3-Line Staff Theory’’ in 1986, which is based on three lines instead of the usual five lines _ the result of 20 years of lonely efforts by a self-taught music theoretician.

The basic concept of his theory is an integration of the improvements of both the pentatonic system of the Orient and the septatonic scale of the West.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Korean alphabet substitute for Do, Re, Mi in this new musical scale system, which is applicab!le to the 12 key modulation of Western music and ``nonghyon’’ or curved melody in Korean music.

The folk tunes each characterized by the unique music mode of its place of origin can be reproduced exactly the same as the original sound under his system, he claimed.

chungay@koreatimes.co.kr 04-11-2007 21:12



동영상 [動映像, moving picture]
http://tvpot.daum.net/v/2597613


천새빛 두대(23+25현) 개량 가야금 독주
http://blog.daum.net/hyc53/11681530?nil_profile=blog




...